본문 바로가기
주식

기술적분석 기본적 분석 하는 방법 / 주식분석의 2가지

by 생존경제 2021. 2. 25.
반응형

주식을 하는데 있어 종목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주식 분석 방법은 크게 2가지로 기술적분석, 기본적 분석이 있습니다.
분석을 하기 위한 신호들은 많지만 저 2가지의 분석을 공부하고 이용한다면 괜찮은 종목을 찾고 수익향상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술적분석,기본적분석

주식분석을 위한 2가지

뉴스와 신문 또는 실시간검색어를 보면 이슈가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언론에 소식이 전해지면 주식의 종목은 이미 늦었다고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들도 많이 있습니다. 올라갈 종목은 어차피 올라가기 때문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그런 종목들을 찾기 위해서는 기술적분석과 기본적 분석으로 지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심있게 주변 신호을 보자

이미 우리는 많은 신호를 접하고 있습니다. 관심있게 보지 않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언제나 종목분석 뉴스를 보고 애널리스트의 분석을 보는 것은 어쩌면 늦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영방송의 9시 뉴스만이라도 유심히 본다면 신호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늦었다는 생각이 들지만, 주가에 반영안된 경우들도 있으며, 이미 올라갔지만 더 올라갈 가능성도 있습니다.

 

기술적분석으로 추세를 살핀다.

주로 차트를 보고 판단의 근거로 삼습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흐름을 보고 매수와 매도 지점을 찾고 주식을 행합니다.
하지만, 차트는 보조지표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많은 분들이 권장합니다.
차트만 믿고 종목거래를 할 경우 하락으로 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차트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보는 봉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 봉차트를 많이 사용합니다.
봉은 시가, 종가, 저가, 고가로 하루에 얼마에서 시작하여 얼마에세 마감을 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또한 봉에는 거래와 심리도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의 흔적은 심리와도 연결됩니다.
이 봉을 평균값으로 연결한 것이 이동평균선입니다.
이동평균선으로 추세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추세의 근거로써 지지선, 저항선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 수 있습니다.

봉과 이동평균선은 서로 관성의 법칙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간극을 나타내는 이격도를 보여줍니다.
이 이격도만을 보더라도 심리를 알 수 있고 매수와 매도의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분석으로 업종을 살피고 산업을 살핀다.

뉴스나 소식으로 신호를 포착했다면 차트부터 살피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 회사가 어떤 업종으로 어떤 값어치 있는 일을 하는 지는 차트만 보고는 알 수 없습니다.

업종은 업태와 종목을 합한 단어입니다.
즉 업종은 어떤 물건 ( 종목 ) 을 어떤 형태로 판매 ( 업태 ) 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마음에 드는 회사가 있다면 업종을 파악하고 해당 업종에서 자신이 본 회사들과 비교를 할 수 있습니다.
같은 제품이지만 회사가 다르기에 사업을 영위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그렇기에 꼼꼼한 비교는 필수입니다.
기본적분석을 위해 살펴야 할 것은 매출과 실적 등이 있습니다.
매출과 실적을 파악하면 현재 자본이 얼마나 있고 부채가 얼마나 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시가총액과 사업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들은 전자공시시스템인 dart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이 회사가 현재 적자인지 흑자인지를 상세히 볼 수 있습니다.
최소한 위험한 기업은 피할 수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