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세번째 회계 마감일 대차대조표 작성법

by 생존경제 2021. 6. 17.
반응형

대차대조표를 작성하는데 있어 회계 마감일에 대한 대차대조표 형식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일별 주별 월별 분기별 년별에 따라 회사마다 다르게 관리하기 때문. 그렇기에 회계팀은 월초, 월말 회계자료를 다루고 세금에 대한 계산까지 해야 하기에 바쁘다.

 

회사마다 다르지만 마감일은 신경이 곤두선다.

매일 회계자료를 다루는 것도 어려운데 마감일은 더 바쁘다.

정확해야 하기 때문이다.

회계에서 복식부기를 사용하는 것도 이유가 있는 것이 여기에 있다.

중복으로 기재함으로써 마감일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만약 오류가 생겼다면 왜 오류가 발생했는지 찾아야 하는 것이다.

이전에 기록한 내용을 한번 보도록 하자.

 

첫번째 항목별 대차대조표 작성법

두번째 영업일자별 대차대조표 작성법

 

마감일에 대한 시나리오를 만들어 본다.

2/4 분기의 이무기상사의 재무상태는 아래와 같다.

2021년 6월 2분기의 대차대조표를 작성해 본다.

  • 현금 : 7만원, 은행예금 : 9만원, 매출채권 : 6만원
  • 대여금 : 4만원, 상품 5만원, 건물 : 20만원
  • 비품 : 15만원
  • 매입채무 : 9만원
  • 차입금 : 30만원
  • 자본금 : 27만원

 

항목을 나눈다.

회계는 자산, 자본, 부채로 이루어진다고 했다.

위의 항목을 자산, 자본, 부채로 나누어 보도록 하자.

용어를 정리한 내용은 한 번 찾아보록 하자.

 

대차대조표에 들어가는 항목 정리

 

  • 자산 : 현금, 은행예금, 매출채권, 대여금, 상품, 건물, 비품
  • 부채 : 매입채무, 차입금
  • 자본 : 자본금

 

엑셀에 표시해 보자

재무상태이 항목을 나열해 놓고, 위의 항목처럼 자산, 부채, 자본으로 나누었다면 엑셀에 표시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일자가 아닌 분기별이란 것에 주목하자.

일자별이라면 오늘의 날짜를 기입하면 되지만 분기별 이란 표식으로 구분을 해 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추후 헷갈리고 이력을 찾는 수고를 감당할 수 있다.

분기별이기 때문에 아래의 정리한 내용은 2/4분기의 총합일 것이다.

만약 수치가 틀렸거나 이력을 보고 싶다면 2분기에 해당하는 모든 대차대조표 비교를 진행해야 할 수 있다.

이무기상사 2021년 6월 2/4분기 대차대조표
이무기상사 2021년 6월 2/4분기 대차대조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