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회계 계정 종류 5가지와 분류 자산계정 자본계정 부채계정 수익계정 비용계정

by 생존경제 2024. 2. 2.
반응형

회계 계정은 5가지 종류로 자산계정, 자본계정, 부채계정, 수익계정, 비용계정이 있다. 회계의 5가지 요소인 자산, 자본, 부채와 수익, 비용을 계정으로 구분한 것이다. 자산계정, 자본계정, 부채계정은 대차대조표와 관련되고, 수익계정, 비용계정은 손익계산서와 관련된다.

회계 계정 종류 5가지

회계 계정 종류 5가지와 분류 방법
자본계정, 부채계정, 수익계정, 비용계정

회계 장부를 작성할 때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것들이 있다.
회계의 5가지 요소로 구분하는데 이것은 자산, 자본, 부채, 그리고 비용과 수익이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용어들이다.
자산, 자본, 부채는 대차대조표에 해당된다.
비용과 수익은 손익계산서에 해당된다.
기업은 특정 시점의 재무 구조와 비용과 수익의 발생여부를 파악하고자 하며,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한다.
대차대조표는 특정 시점에 발생한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재무제표를 말한다.
손익계산서는 특정 시점에 발생한 기업의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고 이익과 손실을 파악할 수 있는 재무제표이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복식부기로써 기록하여 거래의 이중성을 통해 모든 거래는 동일한 금액으로 발생하며, 이는 원인과 결과로써 구분하여 기록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회계의 계정으로 관리되고 구분지어질 수 있다.

계정의 구분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난해할 수 있지만, 회계를 하기 위해 필수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이기도 하다.
먼저, 회계에서 필요한 5가지 요소를 이용해 계정을 구분해 보도록 한다.
이 부분을 먼저 살펴본 후 용어들이 의미하는 바를 살펴본다.
아래는 회계의 5가지 요소로 계정을 구분하였고, 계정 또한 5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 계정의 종류
    대차대조표: 자산계정, 부채계정, 자본계정
    손익계산서: 수익계정, 비용계정

회계의 계정

계정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근간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대차대조표는 자산, 자본, 부채로 구성되어 있으며, 손익계산서는 수익과 비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계의 5요소, 복식부기 그리고 거래의 이중성

여러가지 얘기가 나왔지만, 다시 언급해 보자.
작은 것부터 큰 부분으로 이어지고, 기본적인 내용은 계속 봐도 지나침이 없다는 생각이다.
회계를 공부하면서 느끼는 점이 있다면 모든 내용은 기본에서 확장된다는 느낌이랄까.
그리고 기업이 영업과 수익활동을 하면서 자금의 흐름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다.
기업이 자신의 주머니를 정확하게 체크하여 의미없는 돈의 빠져나감을 예방할 수도 있다.

5가지 요소

회계에는 자주 보이는 단어 5가지가 있다.
자산, 자본, 부채, 수익, 비용 이다.
이것의 기본 개념을 잡는다면 나머지는 확장되어 가는 느낌이다.
자산, 자본, 부채는 대차대조표를 구성하고, 수익, 비용은 손익계산서를 구성한다.
이들에 대한 내용을 잠깐 언급해 본다.

  • 대차대조표
    일정 시점의 기업의 재무 상태 ( 자원, 지분 등 ) 를 표현한다.
    자산, 자본, 부채로 구성
    자산 = 자본 + 부채
  • 손익계산서
    일정 기간 동안 기업에서 발생한 수익과 비용을 계산하여 이익과 손실에 대한 경영성과를 표현한다.
    수익, 비용로 구성
    비용 + 이익 = 수익
    비용 = 수익 + 손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