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차평균의 원리와 거래의 이중성 단어 자체는 어렵지만, 차변과 대변은 항상 같다는 전제에 있다. 원인은 차변이 되고, 결과는 대변이 된다. 이는 거래의 8요소와 연관된다. 거래의 이중성과 대차평균의 원리까지 모든 것은 차변과 대변부터 시작하고 복식부기와 연관되며 이는 거래의 8요소와 연결되어 모든 것을 증명하고 설명할 수 있다.
회계 대차평균의 원리와 거래의 이중성
차변과 대변은 항상 같다.
회계를 공부하면 항상 나오는 것이 차변과 대변이다.
차변과 대변의 합은 항상 같아야 한다.
이것은 복식부기, 거래의 이중성, 대차평균의 원리까지 모두 해당된다.
모든 항목에는 차변과 대변이 존재하는데, 기업이 사용한 모든 금액은 재무를 관리함에 있어 이곳에 기록한다.
단어가 어렵기에 이해하는 것은 어렵지만, 이들의 공통점은 한가지이다.
차변 - 대변 = 0 이다.
이것을 풀어보면 모든 차변의 금액의 합과 모든 대변의 금액의 합은 같다.
차변과 대변의 합계는 같아야 한다.
차변과 대변은 회계를 공부하며 계속 보게 된다.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재무제표를 작성하는데 차변과 대변은 중요한 요소이며 T계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회계에서 차변과 대변은 항상 같아야 한다.
만약, 수치가 틀리다면, 어딘가에서 무엇인가가 잘못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복식부기를 통해 어디에서 어떻게 잘못되었는지 찾을 수 있다.
모든 회계문서 양식은 복식부기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항목을 작성하다보면 오류를 찾을 수 있다.
물론,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지만, 복식부기의 형태는 회계를 작성하는데 기본이 된다.
이것을 알면,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재무제표의 이해가 조금은 쉬워진다.
복식부기
회계에는 단식부기와 복식부기가 있다.
단식부기는 결과만을 작성하는 것으로 간단히 용돈기입장 같은 형식을 생각하면 된다.
결과만을 작성하기에 중간중간 금액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한번 틀리면 원인을 찾기가 어렵다.
복식부기는 이런 단식부기의 오류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차변과 대변을 작성함으로써, 원인과 결과를 찾을 수 있다.
복식부기는 기본 원리는 차변과 대변의 각각의 합은 항상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원리는 어려운 회계에 있어 모든 내용에 적용된다.
거래의 이중성
말이 어렵다. 거래의 이중성이라니.
의외로 뜻은 간단하다.
어떤 곳에서 돈을 사용(지출)했다면 다른 곳에는 돈이 들어왔다(수입)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회계에서 거래의 이중성은 원인과 결과는 같다라는 전제에 있다.
이것 또한 차변과 대변의 역할이 적용된다.
여기서 나오는 것이 거래의 8요소이며, 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 자산 증가 / 감소
- 부채 감소 / 증가
- 자본 감소 / 증가
- 비용 발생 / 수익 발생
회사의 재무상태를 살펴봤을 때 어떤 원인이 증가하면 어떤 결과는 감소하는 결과를 보이며, 그 반대의 경우 또한 나타난다.
대차평균의 원리
이로써 대차평균의 원리를 언급할 때가 되었다.
모든 거래는 어떤 거래의 차변과 어떤 거래의 대변은 같은 금액이 기입되며,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은 같아야 한다.
단어만 다를 뿐, 모든 개념은 같다.
예를 들어 현금 100만원으로 어떤 제품을 구입했다면 차변에 기록하고, 제품구입 100원으로 대변에 기록하여 복식부기 형태로 기록한다.
- (차변)현금 100만원 = (대변) 제품 100만원
여기서 나온 복식부기부터 대차평균의 원리까지 정리해 보자.
단어가 다를 뿐 비슷하고 같은 개념이 반복된다.
복식부기부터 대차평균의 원리까지 정리
여기서 다룬 내용을 정리하면 항상 같은 내용은 차변과 대변이다.
차변과 대변의 합은 항상 같다는 점을 기억하자.
- 차변과 대변
차변의 원인은 대변의 결과를 작성한다 - 복식부기
차변과 대변을 작성하고, 비교한다.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은 항상 같아야 한다. - 거래의 이중성
원인이 되는 구입, 결과가 되는 제품은 지출과 구입이란 공식이 된다.
원인의 금액지출은 상품을 얻은 결과를 만들어 낸다.
이는 거래의 8요소와 성립된다. - 대차평균의 원리
차변에 기록된 합과 대변에 기록되 합은 항상 같다.
결과가 뭔가 허무하다.
이런저런 말이 길어졌다고는 하지만, 항상 같은 내용이 있다면,
원인은 차변, 결과는 대변이며, 차변과 대변의 각각의 합은 항상 같다는 것에 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의 전기와 총계정원장 장부에 계정별로 옮겨적은 것 (0) | 2024.08.01 |
---|---|
분개와 분개장의 뜻과 차이 작성법 거래의 8요소를 생각하자 (2) | 2024.07.23 |
손익계산서 계정의 차변과 대변 기입 방법 비용과 수익의 발생 (0) | 2024.07.07 |
대차대조표 계정의 차변과 대변 기입 방법 (0) | 2024.07.01 |
회계 T계정 3가지 종류 차변대변 / 대차대조표 / 손익계산서 (0) | 2024.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