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그룹사 계열사 차이 모회사의 영향력이 있는 자회사

by 생존경제 2022. 9. 28.
반응형

그룹사와 계열사의 차이를 알면 주가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모회사인 그룹사는 영향을 행사하며 계열사인 자회사들을 거느리고 사업을 영위한다. 대표적인 그룹사는 삼성으로 16개 종목의 회사와 업종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기초로 살펴봐도 국내 업종의 흐름을 직간접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룹사 계열사 차이
모회사의 영향력이 있는 자회사들

그룹사를 파악하는 것은 모회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분야들을 한번에 파악할 수 있다.

대기업의 경우 모기업을 중심으로 여러개의 자회사를 두어 여러 개의 사업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수익을 창출한다.

주식을 하는 사람들이 항상 참고하는 것이 삼성이다.

삼성은 16개의 자회사를 가지고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각 자회사는 특징적인 주특기를 가지고 있다.

카카오는 5개의 자회사가 있으며 자회사의 특징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사업을 하고 있다.

그룹사 계열사 무슨 뜻

사전적인 의미부터 찾아보자.

그룹사 뜻은 자회사를 하나로 묶은 대기업의 계열사를 말한다.

계열사 뜻은 하나의 기업 집단에 속해 있는 회사를 말한다.

비슷한 뜻을 가진 단어이지만 그룹사는 모회사의 개념이 강하고, 계열사는 자회사의 개념이 강하다.

좀 더 상세한 내용을 추가하면 모회사는 자회사의 주식 30%이상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고 자회사의 경영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지배구조이다.

모회사는 자회사를 가지고 있지만 자회사는 모회사가 되면서도 별도의 자회사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그룹사는 영어로 Group Company 라고 하고 계열사는 영어로 Subsidiary 또는 Affiliate 라 한다.

삼성의 경우

삼성의 경우 계열사는 16개로 다양한 업종의 종목을 가지고 있다.

대기업의 계열사만 파악하더라도 종목에 대한 업종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업종에 대한 이야기는 아래를 참고해 본다.

당연히 대기업의 자회사들은 대장주로써 충분히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삼성의 경우를 보자.

16개의 종목은 각기 다른 업종 등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업종에서 흐름이 좋은지 파악을 빠르게 해 볼 수 있다.

삼성은 광고, 보안, 의학, 전자, 보험, IT, 플랜트, 제조, 유통, 금융, 중공업까지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다양하고 알짜베기 기업들이다.

이들 중 하나가 흔들리면 지역 자체가 흔들릴 수 있는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삼성이다.

( 확대해석일 수 있지만 그만큼 국내 산업에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이렇듯 그룹사의 지배구조를 살펴보고 정보를 정리해 보는 것도 좋다.

한화의 경우

우리나라는 분단국가이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방산주는 수시로 관심을 받는다.

한화는 삼성보다 적지만 화학, 보험, 증권, IT, 무기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K국방이라 칭하는 T50 골든이글, K9 자주포 등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포방부를 이끄는 힘은 한화가 주를 이루고 있기도 하다.

( 아쉽지만 한화디펜스는 비상장이며, 관련이 깊은 계열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 이다. )

한화는 최근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대우조선해양이지만 전투함과 잠수함의 기술력의 기술은 독보적이다.

이것으로 한화의 경우 우리나라 국방의 육, 해, 공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한 계기가 되었다.

계열사와 그룹사를 파악하자

종목이나 업종별로 회사들을 분류하는 것도 좋은 정리요소가 되지만 계열사나 그룹사를 기준으로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덩치가 큰 대기업의 경우 움직임은 둔하지만 어떤 사업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오랜동안 유지를 하고 있는 사업의 경우 그만큼 긍정적인 사업임을 유추해 볼 수 있기도 하다.

( 주가관리는 좀 아쉽긴 하다. )

대기업이 거느린 계열사나 그룹사를 참고하면 주가의 흐름에 있어 어떤 업종이 오르고, 어떤 업종이 가라앉는지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경제가 나빠도 올라가는 종목들이 있다.

경제가 좋아도 떨어지는 종목들이 있다.

기업이 거느린 계열사와 그룹사를 유심히 보는 것도 업종 흐름을 간접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