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으로 개별 종목을 찾아 거래하는 것은 어렵지만 ETF를 이용하면 같은 업종들에 대해 분산투자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내가 원할 때 거래할 수 있는 주식과 자금을 하나로 모아 분산투자를 하는 펀드의 성격을 합친 것을 ETF이다. 종목을 분석하는 것보다 지수를 분석하는 큰 틀에서 장점이 있다.
ETF란 주식처럼 거래하고 펀드처럼 분산 투자한다.
주식을 할 때 대부분 올라가는 종목의 차트를 주로 많이 볼 것이다.
수익을 위한 주식 책자를 찾아보더라도 종목을 찾는 단타 매매와 차트에 대한 설명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하기도 한다.
네이버의 증권 화면을 보면 어려운 용어들이 많은데 이중 ETF 라는 것이 있다.
ETF 를 쉽게 표현하면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합쳐 만든 증권상품이다.
개별적으로 매수해야 하는 주식 종목, 오늘의 종가로 다음 날 거래해야 하는 펀드의 불편함은 아쉬움이 많았다.
ETF 는 이러한 단점을 없애고자 나온 것이다.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내가 원할 때 매수할 수 있고, 펀드처럼 증권상품을 매수하면 알아서 분산투자를 하게 된다.
주식과 펀드를 합쳐 보았다.
ETF 에 대해 설명할 때 나오는 것이 소액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하다 라는 것이다.
주식은 당연히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라는 것은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 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분산투자를 한다 라는 말이 뭔가 오묘하고 선뜻 와닿지 않는다.
위에서 언급했듯 ETF 는 주식의 장점과 펀드의 장점이 합친 개념이기도 하다.
먼저 주식과 펀드의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 주식
종목을 골라 내가 원할 때 거래할 수 있다.
분산투자를 하기에는 종목을 비교할 시간이 필요하다. - 펀드
오늘의 종가로 다음 날 거래해야 한다.
펀드 상품 하나에는 여러 종목이 묶여 있어 분산투자가 가능해 진다.
주식과 펀드를 비교하면 더 많은 특징들이 있지만 일반적인 부분은 위와 같다.
ETF란 주식과 펀드의 장점을 합친 증권 상품으로 내가 원할 때 거래가 가능하고 상품에 따라 분산투자가 가능해 진다.
상장지수펀드 또는 인덱스펀드라고도 하며 지수에 영향을 받는 증권 상품이다.
그렇기에 ETF 를 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지수 분석이다.
ETF를 영어로는 Exchange Traded Fund 이다.
지수를 파악하자
주식 종목을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는 Top-Down 방식이 있다.
코스피 코스닥 등의 지수를 파악하고 세부종목을 찾는 방법으로 산을 보고 질좋은 나무를 찾는 방법이기도 하다.
큰 틀에서 지수는 중요하다. 산업이 움직이는 방향성을 볼 수 있는 것이기에 지수의 하락은 오르는 종목보다 떨어지는 종목들이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산업이 그렇듯 오름이 있다면 떨어짐이 있다. 지수 또한 오름이 있고 떨어짐이 있다.
그렇다면 지수에 영향을 받는 ETF 를 지수로써 찾는 다면 묶여진 종목들을 같이 찾을 수 있다.
내가 원할 때 소액으로 거래하고 분산투자를 한다.
주식은 내가 원하는 종목을 내가 원할 때 거래할 수 있지만, 일일히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펀드는 하나의 상품으로 여러 종목을 분산투자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거래만큼은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다.
ETF 는 펀드의 일종이지만 주식처럼 내가 원할 때 거래할 수 있고, 펀드처럼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종목군의 어떤 종목이 10만원이지만 해당 종목이 포함된 ETF 가 5만원이라면 ETF 에 투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ETF 의 특성을 알면 투자를 함에 있어 조금은 수월한 측면을 찾을 수 있다.
ETF 구성 찾기
ETF 라는 것은 알겠지만 분산투자라는 것이 선뜻 와닿지 않을 것이다.
주식의 종목군들은 각각의 공통적인 업종들이 있고, 테마로 연결되어 있다.
증권사는 이런 특정 종목군을 한데 묶어 펀드라는 상품을 만들었고, 이것을 개인들이 직접 원할 때 거래할 수 있도록 ETF 를 만들었다.
만약 전기차의 필수요소인 배터리 ETF 라고 한다면 전기차 종목군들이 ETF 배터리 증권상품 에 묶여 있고 ETF 배터리 증권상품을 개인이 매수했다면 관련된 전기차 종목들에 분산투자가 되는 것이다.
네이버에서 ETF 구성을 한 번 찾아보자.
- 네이버 증권에 접속한다.
https://finance.naver.com/ - 국내증시에 들어간다.
- 좌측메뉴의 ETF 를 클릭한다.
- 예를 들어 ) TIGER KRX2차전지K-뉴딜 를 찾고 항목을 클릭한다.
- 세부정보 화면의 하단에 있는 주요 구성 자산을 찾는다.
- TIGER KRX2차전지K-뉴딜 에 속한 개별 종목을 찾을 수 있다.
위의 예는 TIGER KRX2차전지K-뉴딜 을 살펴보았다.
만약 ETF 상품인 TIGER KRX2차전지K-뉴딜 을 매수했다면 자신이 매수한 금액은 펀드로서 한데 모여 구성 자산으로 모여진 개별 종목군에 분산투자 하게 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 상승 이유 누군가 종목을 비싸게 샀기 때문 (0) | 2022.10.27 |
---|---|
ETN이란 주식처럼 거래하는 거래 가능한 채권 (0) | 2022.10.24 |
그룹사 계열사 차이 모회사의 영향력이 있는 자회사 (0) | 2022.09.28 |
주식 테마주란 특정 소식 주제 등에 따라 주가에 영향을 받는 종목 (0) | 2022.09.15 |
주식 업종 분류 경기의 흐름에 관심을 가져 본다. (0) | 2022.09.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