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총액은 큰 틀에서 기업의 가치와 규모를 파악하는 지표로써 사용된다. 시가와 발행주식수를 곱한 시가총액은 상대적으로 기업들의 관심도와 지표를 보여주는 수치로써 참고의 대상이 된다. 시가총액이 높을 수록 규모가 있고, 튼튼하지만 시가의 움직임은 둔하다. 시가총액이 낮을 수록 규모는 작고 불안하지만 시가의 움직임은 활발하다. 그렇기에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일수록 잠재력이 있고, 저평가된 기업들이 다수 포진해 있다. 다만, 진흙 속의 진주를 발견하는 것이 어렵듯이 시가총액이 낮으면서 저평가된 기업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시가총액이란 뜻과 의미
기업의 가치 척도를 나타내는 지표
회사의 규모를 파악하고 재무상태를 확인하고 관심도를 보는데 있어 시가총액은 그에 걸맞는 지표가 된다.
기업분석을 하는 사람들이 시가총액에 관심을 갖는 이유도 그렇다.
규모가 커던 작던 시가총액을 확인함으로써 내재된 가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
매수를 위해 주가를 확인하기 앞서 먼저 시가총액을 살펴보는 것도 좋다.
기업의 주가를 보고 싸다 비싸다의 차이는 시가총액에서 비롯된다.
시가총액이란
시가총액이란 한자로는 時價總額 ( 時 때 시, 價 값 가, 總 합할 총, 額 이마 액 ) 영어로는 market capitalization 이라 한다.
주식시장이 마감되면 주가는 해당일의 마감종가가 결정된다.
단어로 보는 시가총액 뜻은 상장회사의 그날의 마감된 종가와 상장된 주식수를 곱한 후 합계한 값을 의미한다.
전체를 합계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시가총액으로 기업의 시가총액은 종가와 발생 주식수를 단순히 곱한 값이다.
- 시가총액 계산
시가총액 = 시가 X 발행 주식수
단순히 차트만을 보면 시가총액에 무관심해질 수도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기업의 내재된 가치를 가장 먼저 확인할 수 있는 것이 시가총액일 수 있다.
기업의 규모와 가치 지표
시가총액은 수시로 변동한다.
위에서 작성한 공식에서 보이듯이 시가 X 발행 주식수 이다.
발행 주식수는 회사마다 다르고, 추가로 발행하지 않으면 변하지 않는다.
다만 시가는 수시로 변한다. 시가총액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것으로 회사의 규모와 가치는 어떻게 판단하게 될까.
예로 아래의 이미지를 보도록 하자.
대표적인 IT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교해 보도록 한다.
시가는 네이버가 높다.
상장주식수는 카카오가 높다.
시가총액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교한 것을 보면 네이버의 시가총액이 높다.
정확한 기업의 규모와 가치는 재무제표 등을 같이 확인해 봐야 겠지만 이 내용으로 비교할 수는 있다.
단순히 위의 내용으로 판단해 보면 둘의 가치는 비슷해 보이기도 하지만, 시장의 관점에서 카카오보다는 네이버에 관심이 더 많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기업의 규모와 가치를 판단하더라도 네이버의 가치가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다음에는 공시와 재무제표, 사업보고서를 찾아보면서 이 둘이 어떤 사업을 하며 어떤 서비스에서 이익을 발생하는지 찾아보면 되는 것이다.0
낮은 시가총액을 가진 회사도 주목
주식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들은 시가총액이 낮은 회사를 찾아보기도 한다.
다시 공식만 생각해 보자.
시가총액을 올리기 위해선 직접적으로 영향이 미치는 것은 시가이다.
시가를 높이기 위해선 회사는 부단히 노력하고 신사업을 꾸릴 것이다.
시가총액이 높을 수록 몸집이 크고, 규모가 있으며 나름 탄탄한 대기업이 주를 이루기도 한다.
몸집이 클수록 움직임은 둔하다. 그리고, 비용이 많이 든다.
결론적으로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이 새로운 사업이나 영업이익 등의 기대감으로 시가총액을 높으려면 부단히 움직이고 자금이 많이 들어간다.
반면,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은 상대적으로 몸집이 작고 움직임이 빠를 수 있다.
신사업 발표는 기대감을 충족시키고 시가총액이 높은 기업보다 적은 금액으로 시가총액을 높일 수 있다.
그렇기에 저평가된 기업은 주로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들에 몰려 있을 수 있지만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진흙탕 속에서 진주를 찾는 격이기 때문.
다만, 시가총액이 낮은 기업을 검색하다보면 대장주와 맞물려 진주를 찾을 수도 있다.
그만큼 저평가된 기업들이 많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테마주란 특정 소식 주제 등에 따라 주가에 영향을 받는 종목 (0) | 2022.09.15 |
---|---|
주식 업종 분류 경기의 흐름에 관심을 가져 본다. (0) | 2022.09.13 |
배당금 높은 주식 순위 찾는 방법 (0) | 2022.08.28 |
증권 뜻과 주식 채권의 관계 (0) | 2021.07.10 |
시간외 종가 단일가 거래하는 방법과 매매시간 (0) | 2021.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