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에서 복식부기는 이중으로 돈의 흐름을 기록한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작성시 차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작성하게 되는데 차변은 왼쪽에 대변은 오른쪽에 기재한다. 차변의 항목은 자산과 비용, 대변의 항목은 부채, 자본, 수익 항목이 들어간다. 회계에서 자주 보는 자산, 부채, 자본, 비용, 수익 이 5가지는 거래의 8요소로 표현이 가능하다.
복식부기의 표현 차변과 대변의 이해
왼차오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복식부기를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별 것 아닌 것이 이렇게 어렵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기록하고 파악한다.
이 둘을 비교하고 금액이 같으면 다행이지만, 다르다면 문제가 커진다.
복식부기는 이런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기록하고 비교하고 금액이 맞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전에도 비슷한 포스팅을 했지만 그래도 어렵다.
거래 요소의 결합 관계 차변과 대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표현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요소들은 거래의 8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의 요소는 자산, 부채, 자본이며, 손익계산서의 요소는 비용, 수익, 이익, 손실이다. 이것을 차변과 대변하여 표
natlng.tistory.com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만약, 내가 기업을 운영하는 사장이라 생각해 보자.
이윤을 추구하는 사업을 시작했고, 돈이 흘러가는 흐름을 알고 싶을 것이다.
가계부는 작성할 줄 알지만, 회계로 기록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은 단식부기는 이해하지만 복식부기는 모른다는 것과 같다.
먼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 대차대조표
- 기업의 재정상태를 기록한다.
- 요소 : 자산, 부채, 자본 - 손익계산서
- 이윤을 위한 기업활동의 소비한 비용 대비 들어온 수익을 기록한다.
- 요소 : 비용, 수익, 이익과 손실
거래의 이중성과 5가지 요소
복식부기의 의미는 회계를 조금 공부한 사람이라면 알 것이다.
이중으로 기록하여 금액이 잘못 기재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업은 자산을 관리하고 이윤활동을 한다.
이런 기업이 여러 활동을 하면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구성하고 기록한다.
복식부기는 이중으로 기록하고 서로간의 금액을 비교하여 항상 같음을 확인하며, 이것을 거래의 이중성이라 한다.
그리고, 기업의 자산을 표현하는 대차대조표와 기업의 영위활동을 위한 손익계산서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대차대조표
자산, 자본, 부채 - 손익계산서
비용, 수익, ( 이익, 손실 )
위의 요소는 회계에서 필수로 익혀야 되는 것이며, 수식으로 표현되고 차변과 대변의 구성에 필요한 요소들이다.
왼차오대 차변 대변의 요소
왼차오대는 그냥 써본 말이다. 왼쪽에 차변, 오른쪽에 대변을 작성한다.
대차대조표에 사용하는 구성요소와 손익계산서에서 사용하는 구성요소를 이용한 식을 보면 차변과 대변에 어떤 구성을 할지 고민을 덜 할 수 있다.
대차대조표는 자산, 부채, 자본 으로 구성된다.
손익계산서는 비용, 수익 이에 따른 결과로 이익과 손실을 구할 수 있다.
이들의 계산식은 차변과 대변의 요소를 구분짓는 요소가 될 수 있다.
- 대차대조표
차변 / 자산 = 부채 + 자본 / 대변 - 손익계산서
차변 / 비용 = 수익 - ( 이익 또는 손실 ) / 대변
위의 내용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아진다.
또한 위의 내용을 거래의 8요소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사례별 거래의 이중성과 8요소 표현하기 (0) | 2023.05.10 |
---|---|
회계 거래의 이중성과 8요소 종류 차변과 대변 관계 (0) | 2023.04.12 |
거래 요소의 결합 관계 차변과 대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표현 (0) | 2023.02.19 |
부기상의 회계 거래 종류 사례별 정리 (0) | 2023.02.11 |
회계 거래란 기업 자산의 증감이 발생한 것 (0) | 2023.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