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거래는 복잡하다. 정확성을 위해 복식부기를 이용하여 차변과 대변으로 구성한다. 차변과 대변은 거래의 8요소로 구성할 수 있으며, 차변과 대변은 항상 같아야 하는 복식부기의 원칙인 거래의 이중성이 발생한다. 거래의 이중성은 회계거래의 정확성을 위해 이중으로 기입하고 차변과 대변의 값은 항상 같아야 한다.
회계 거래의 이중성과 8요소 종류
차변과 대변 관계
회계는 복잡하다. 복식부기의 경우 차변과 대변을 비교하고 수치를 맞춘다.
차변과 대변을 나누고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작성하게 된다.
대차대조표는 자산, 자본, 부채 에 대한 재정상태를 파악하고 손익계산서는 비용에 따른 이익과 손실을 파악한다.
회계에서 차변과 대변의 값은 항상 같아야 하는 관계를 거래의 이중성이라 하고,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차변과 대변을 거래의 8요소로 표현할 수 있다.
차변과 대변에는 각각 자산의 증가와 감소에 대한 부분을 기재하게 된다.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회계를 공부하다보면 항상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거론할 수 밖에 없다.
아마도 회계에서 가장 기본이 되기 때문일 것이다.
대차대조표는 재정상태를 손익계산서는 이익과 손실을 표현하며, 이들의 구성과 등식은 다음과 같다.
- 대차대조표 / 회사의 재정상태를 표현
자산 = 부채 + 자본 - 손익계산서 / 비용에 따란 이익과 손실을 표현
비용 = 이익 - 수익
비용 = 수익 + 손실
거래의 8요소
위의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등식을 구성하는 요소를 결합하면 거래의 8요소로 표현할 수 있다.
거래의 8요소는 대차대조표의 구성과 손익계산서의 구성을 차변과 대변으로 결합하여 구성하고 수치를 기록한 것을 의미한다.
한눈에 재정상태와 수익과 손실에 대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표로 구성하면 이해가 쉽다.
중요한 점은 차변과 대변의 값은 항상 같아야 한다는 점이다.
거래의 이중성
이제 회계의 복식부기를 하는 이유와 중요한 부분인 거래의 이중성을 보게 된다.
거래의 이중성은 쉽게 말해 차변과 대변의 값은 항상 같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복식부기는 이런 점을 이용해 수치가 잘못된 점을 찾을 수 있다.
돈의 흐름을 파악하고 기록함으로써 어떻게 사용되고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거래의 이중성이 필요하게 된다.
차변과 대변의 관계
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차변과 대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다.
차변과 대변은 항상 값이 같아야 하는 거래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으며 복식부기의 원리가 된다.
몇가지 예시를 이용해 차변과 대변의 관계인 거래의 이중성과 거래의 8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 차변 ) 상품 증가 10만원 = 현금 감소 10만원 ( 대변
자산 증가는 차변에. 자산 감소는 대변에 기재한다.
상품은 자산에 속하고, 구매를 위해 비용이 발생하여 자산이 감소했다. - 차변 ) 상품 증가 5만원 = 매입채무 증가 5만원 ( 대변
자산 증가는 차변에, 부채의 증가는 대변에 기재한다.
상품은 자산에 속하고, 구매를 위해 외상을 하여 부채가 증가했다. - 차변 ) 현금 증가 5만원 = 이자수익 발생 5만원 ( 대변
자산 증가는 차변에, 수익의 발생은 대변에 기재한다.
현금은 자산에 속하고, 이자수익이 발생하여 수익이 발생했다. - 차변 ) 급여 발생 20만원 = 현금 감소 20만원 ( 대변
비용 발생은 차변에, 자산 감소는 대변에 기재한다.
급여는 비용에 속하고, 현금이란 자산이 감소했다.
'회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 계정과 계정과목 뜻과 차이 항목별로 설정된 기록 계산의 단위 (2) | 2024.01.24 |
---|---|
회계 사례별 거래의 이중성과 8요소 표현하기 (0) | 2023.05.10 |
복식부기의 표현 차변과 대변의 이해 왼차오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0) | 2023.02.27 |
거래 요소의 결합 관계 차변과 대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의 표현 (0) | 2023.02.19 |
부기상의 회계 거래 종류 사례별 정리 (0) | 2023.02.11 |
댓글